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raphtheory
- connectivity
- 베이지안
- platformurbanism
- 서울
- 스마트시티
- multinomiallogitregression
- 도시설계
- 네이버
- Python
- digitalgeography
- 공간분석
- 핫플레이스
- spacesyntax
- 공간데이터
- geodataframe
- 도시인공지능
- digital geography
- QGIS
- 그래프이론
- naver
- pandas
- 파이썬
- 도시공간분석
- 도시계획
- 서울데이터
- 그래프색상
- postgres
- 웹크롤링
- SQL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raphtheory
- connectivity
- 베이지안
- platformurbanism
- 서울
- 스마트시티
- multinomiallogitregression
- 도시설계
- 네이버
- Python
- digitalgeography
- 공간분석
- 핫플레이스
- spacesyntax
- 공간데이터
- geodataframe
- 도시인공지능
- digital geography
- QGIS
- 그래프이론
- naver
- pandas
- 파이썬
- 도시공간분석
- 도시계획
- 서울데이터
- 그래프색상
- postgres
- 웹크롤링
- SQL
- Today
- Total
목록multinomiallogitregression (2)
이언배 연구노트
내가 쓸 모델들은 총 4개. 1.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from sklearn.linear_model import LogisticRegressionfrom sklearn.metrics import accuracy_score, confusion_matrix, precision_score, recall_score, f1_score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학습, 테스트 셋 구분# Split the dataset into training and testing sets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X, Y, test..

데이터 구축이 끝났다.이제 지난번에 거쳤던 요리의 과정을 고스란히 다시 거쳐보는 작업이 남아있다.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는 나도 잘 모른다.그냥 해야할 것을 차근차근 해보자.1. 전처리# 불러올 column들을 지정해주자.col_names = ['pmid', 'title', 'cls_main', 'digi_type', 'gro_flo_co', 'und_flo_co', 'total_area', 'bdtyp_cd', 'roa_cls_se', 'rds_dpn_se', 'road_bt', 'buld_age', 'dist_tord', 'dist_toapt', 'dist_tocbd', 'dist_tostation', 'mlsfc_cl']# 위 column 들로 query 문을 작성해보자.col_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