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도시설계
- QGIS
- digital geography
- multinomiallogitregression
- naver
- graphtheory
- 핫플레이스
- 그래프색상
- 도시계획
- SQL
- platformurbanism
- geodataframe
- 도시공간분석
- 그래프이론
- spacesyntax
- connectivity
- 서울데이터
- 공간데이터
- 베이지안
- 스마트시티
- digitalgeography
- 공간분석
- 웹크롤링
- pandas
- 네이버
- 도시인공지능
- postgres
- Python
- 파이썬
- 서울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도시설계
- QGIS
- digital geography
- multinomiallogitregression
- naver
- graphtheory
- 핫플레이스
- 그래프색상
- 도시계획
- SQL
- platformurbanism
- geodataframe
- 도시공간분석
- 그래프이론
- spacesyntax
- connectivity
- 서울데이터
- 공간데이터
- 베이지안
- 스마트시티
- digitalgeography
- 공간분석
- 웹크롤링
- pandas
- 네이버
- 도시인공지능
- postgres
- Python
- 파이썬
- 서울
- Today
- Total
목록Urban Planning (11)
이언배 연구노트

그래도 스마트시티 연구한다는 학생이기초부터 배경까지 차근차근 알아야하지 않나 하는 생각에일단 집어들었다. 김용학, 스마트시티 세계 -기획과 조성, 기문당1.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시티의 출현○ 기술의 변화에 따라 전통도시(산업혁명 이전) >> 산업도시/근대도시(대량생산 포디즘(Fordism), 철도건설과 서부개척, CBD의 확산과 Sprawl) >> 정보사회(탈공업사회Post industrial society, 컴퓨터와 인터넷 기반의 혁명) >> 지능정보사회(다품종 소량생산, IoT, Cloud, Big Data, AI)○ 4차산업혁명: 2015년 1월 다보스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던져진 화두. 디지털 혁명(제3차 산업혁명)에 기반해 물리적 공간, 디지털적 공간 및 생물학적 공간..

23살 무렵에 대학생 건축기자단 활동을 하며추천받았던 책.물론 안읽었었다. 이제서야 읽는다.Gehl. J., and Svarre, B. How to study public life, 비즈앤비즈1. 공공공간, 공공생활 그리고 상호작용○ 1960년대 초,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베드타운', '문화적 빈곤'과 같은 표현들이 등장. 과도하게 이성적이고 전문화된 프로세스와 대규모 도시계획... 이로 인해 공공생활, 그리고 공공공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 연구들이 등장하기 시작. 1980년도 말부터 실제 도시계획 현장에 적용 가능하게 해달라는 요구가 생기기 시작했고, 2000년부터는 공공생활 가능한 도시 건설에 대한 공감대가 널리 확산.○ 제인 제이콥스, 윌리엄 화이트... 모더니즘의 추상적 도시계획..

솔직히 처음보는 책인데,뭔가 근본처럼 보여서 집어왔다.제법 두꺼워보이는데... 할 수 있을까? 시작한지 얼마나 되었다고 슬슬 텐션이 떨어져간다.이런 마구잡이식 지식의 축적이 나의 연구에 도움이 될까? 그냥 하자.하다가 아니면 말면 되지.Carmona. M., Heath. Tm., Oc. T., and Tiesdell. S.(Public places-urban spaces - The Dimensions of Urban Design, 대가))1. 도시설계의 현주소1-1. 오늘날의 도시설계○ 도시설계(urban design) 은 1950년대 말 북아메리카에서 생겼고, 좁은 의미로 쓰이던 시빅디자인(civic design, 도시미화운동의 핵심) 을 대체. 도시설계는 생산물이자, 과정이고, 예술품이고, 건축물의 ..

지난번 도시경제학이 아주 깊게 뇌리에 박혔다.물론 머리에 남은 건 없지만, 뇌리에는 박혔다. 재밌어보여서 지역경제학도 펼쳐봤다.지역경제학(정홍열, 시그마프레스)1. 지역경제학이란?○ 일반경제학은 자원의 생산과 분배를 하나의 일정한 장소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재화와 용역을 '어디에서' 생산하고 '어디에서'소비할 것인가. '운송비'가 있다라는 가정 또한 중요한 경제적 문제가 되므로, 지역경제학은 이러한 공간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학문적 발전은 19세기 초, 특히 독일에서 논의된 입지이론(location theory) 을 바탕으로 시작. 튀넨(Thunen), 웨버(Weber), 크리스탈러(Christaller), 팔랜더(Palander), 후버(Hoover), 뢰쉬(Losch) 등이 여..

이건 진짜 읽을까 말까 하다가 안읽으려고 했는데,Laura Vaughan 선생님의 논문이 있길래,재미있어보이는 두 세편 정도만 짧게 읽고 넘어가기로 한다. Urban Geopolitics (Rokem, J., and Boano, C., Routledge)1. Introduction: towards contested urban geopolitcs on a global scale (Rokem and Boano)○ 도시학과 지정학을 엮은 도시지정학(Urban geopolitics) 라는 , 점차 성장하는 학문에 있어서 다양한 연구를 모으는 것이 본 책의 목적. urbanism and post-colonial regime 를 통해서 매우 장기간, 인류학적인, 폭력적인 conflict 를 우리는 봐왔지만 대부분의..

건강도시란 무엇인가.건강이 제일이니까. 건강도시의 이론과 실제( 강은정 등 10명 공저, 홍릉과학출판사)1. 건강도시란?○ 건강도시는 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시민이 삶의 모든 기능을 수해앟고 최대한의 잠재력을 개발하는 데 있어 서로 협력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자원을 확장해나가는 도시○ 국내에서는 도입기(1998~2006, 과천의 '건강한 도시 과천21' 사업을 시작으로 금연교실, 비만교실 등. 아시아에서는 2003년에 건강도시 연맹(Alliance for Healthy Cities) 출범) >> 발전기(2006~2009, 국내 건강도시 네트워크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Korea Healthy Cities Partnership 창립, 창원시가 초대의장도시) >> 성숙기 (2010..

도시와환경 책은 생각보다 모든 챕터를 재미있게 읽어버려서...시간이 길어졌지만남은 책들은 정말 겉핥기식으로 훑는 것이 목표다. 도시개발론에서도 도시 브랜딩, 마케팅에 대한 챕터가 제법 흥미로웠는데,영어 원서는 무슨 말을 하려나 Urban Events, Place Branding and Promotion - Place Event Marketing(Waldemar Cudny, Routledge)1. Cudny, Waldemar. The concept of place event marketing○ This publicaton focuses on the phenomenon of place event marketing... all procedures of branding and promotion of places..

도시는 한두가지의 요소로 이루어지는 게 아니다.어제 도시경제학을 공부하면서 다시금 뼈저리게 느낀다.그러니 아무리 별 관심 없더라도, 되도록 많이 읽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깨닫고오늘은 환경 분야를 공부해본다. 하지만 정말 별 관심이 없어서,중요하다 싶은 챕터 일부만 발췌해 공부하고자 한다. 도시와환경(권용우 박양호 유근배 황기연 외 공저, 박영사)1. 도시 관리와 환경○ 과도한 도시화에 대한 환경적 대응을 위해 처음에 garden city 가 생기고, 그 다음 1975년 버클리에서 생태도시(urban ecology) 탄생, 도시를 하나의 유기체로 전제하여 생물다양성을 중시하는 방향. 이후 우후죽순 생겨난 키워드로 압축도시(Compact city), 어반빌리지(urban village휴먼스케일, 녹지와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