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aver
- 도시인공지능
- 도시공간분석
- SQL
- 베이지안
- 핫플레이스
- geodataframe
- QGIS
- pandas
- Python
- 서울데이터
- 파이썬
- 그래프색상
- graphtheory
- digital geography
- postgres
- digitalgeography
- 서울
- 도시설계
- 네이버
- connectivity
- spacesyntax
- 그래프이론
- multinomiallogitregression
- 도시계획
- 스마트시티
- 공간분석
- platformurbanism
- 공간데이터
- 웹크롤링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aver
- 도시인공지능
- 도시공간분석
- SQL
- 베이지안
- 핫플레이스
- geodataframe
- QGIS
- pandas
- Python
- 서울데이터
- 파이썬
- 그래프색상
- graphtheory
- digital geography
- postgres
- digitalgeography
- 서울
- 도시설계
- 네이버
- connectivity
- spacesyntax
- 그래프이론
- multinomiallogitregression
- 도시계획
- 스마트시티
- 공간분석
- platformurbanism
- 공간데이터
- 웹크롤링
- Today
- Total
목록Urban Planning (11)
이언배 연구노트

도시계획론과 도시개발론을 보고 나니, 아 도시공학과들은 이런 공부를 하는구나, 내가 이걸 이제야 봤다니,내가 공부해야할 게 한참 많구나 하는 걸 느꼈다. 영어 원서를 읽어야 단련이 되려나 싶다가도,한국에서 공부하는 데 장점을 써먹어야 하지 않나 싶어서 한글로 된도시 관련 서적들을 골고루 훑어보고자 한다. 시작은 오설리반의 도시경제학부터.1. 오설리반의 도시경제학 (Arthur O'Sullivan, 박영사)1. 서론○ 도시경제학은 지리학과 경제학의 교차지점. 지리학은 어떻게 다양한 행위들이 공간적으로 배열되는가, 경제학은 자원이 한정되어 있을 떄 사람들이 하는 선택에 대해.2.도시경제학의 주요 개념들○ 도시공간을 예로 들면 통행시간의 기회비용은 여가, 근로, 교육에서의 시간에 대한 가치.○ 의사결정자는 한..

도시계획론만 해도 충분하지 않으려나 하고 슬쩍 펼쳐본 도시개발론.콘텐츠들이 도무지 몰라선 안될 내용들인 것 같아 스터디를 시작한다.1. 도시개발의 이해1.1 도시개발이란 무엇인가?1.2 개발의 개념과 도시개발1.3 도시개발의 필요성○ 도시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도시화 떄문. 도시화-교외화(suburbanization)-반도시화(deurbanization)-재도시화(reurbanization, 도시재생 등) 등 다양한 단계를 겪는 도시 공간 수요에 반응하기 위해서.1.4 도시개발의 종류와 개발방식○ 종류1 - 신개발: 토지개발, 건축물 개발, 토지와 건축물 종합개발로 이해. 종류2 - 재개발: 정태적인 기존 도시읨 ㅜㄹ리적 환경을 동태적인 사회경제여건에 적응시켜 나가는 지속적인 도시성장 및 발전과정. ○ 방..

'디지털 기술과 도시 공간' 을 논해야 하는데 도시 계획 이론도 모르고 있었다.모르는 내용에 대해 좋은 아이디어가 나올리 없다.근본부터 차근차근 쌓아보자. 1. 도시와 도시계획-1 도시화와 도시문제○ 도시란: 인간 스스로의 의지로 만들어낸 인공환경(built environment)이며, 인간의 삶을 담는 그릇으로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활동을 유지시켜주는 터전.○ 서로 영항을 주고 받는 system 을 이루는 구성요소: 시민 (citizen), 활동 (activity), 토지(land) 및 시설(facility)○ 도시화 진행 단계: 집중적 도시화 (casued by agglomeration economy) - 분산적 도시화 (sub-urbanization) - 역도시화(caused by..